본문 바로가기

기타교실/김문홍기타강좌

09. 케이던스(종결)_1

케이던스라는 건 영어로는 cadence라고 쓰고 이태리 말로는
카덴짜, 우리말로는 마침꼴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대중 음악에서는 영어로 읽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케이던스라고
하겠슴다.

 

코드 진행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서 이 케이던스를 지칭합니다.
거의 모든 곡은 케이던스를 연결함으로써, 혹은 그들 케이던스에
대리 화음을 등을 도입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케이던스란 불안정한 코드(도미넌트, 서브도미넌트, 서브
도미넌트 마이너)가 안정된 코드(토닉)로 해결되는 패턴을 말합니다.
이것을 달리 말하면 동적 코드 -----> 정적 코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케이던스의 종류

 


1) 도미넌트 케이던스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V7)에서 토닉 코드(I)로 진행하는
   케이던스로서, 가장 기본적인 케이던스입니다. 이 진행을
   특히 도미넌트 모션이라 부릅니다.
   C 키에서는 G7 --> C 진행을 말하고 
   G 키에서는 D7 --> G, B 키에서는 F#7 --> B ...이렇게
   되는 것들이죠.....
  * 트라이톤(Tritone: 3온음)의 해결
   도미넌트 세븐스 코드에는 극히 불안정한 감5도 음정이 포함되어
   있슴다. 이것을 트라이톤이라고 부르는데, 이 불안정한 
   감5도가 안정된 장3도로 진행함으로써 강한 해결감을 낳는
   것입니다.
   어떤 부분이 감5도냐구요?
   C 키에서는 G7 --> C 인데
   G7의 구성음을 보면 '솔,시,레,파'죠?
   여기서 '시-파'의 음정을 따져보세요. 5도인데 길이가
   3이죠? 원래 완전5도의 길이는 3.5였죠? 반음 짧아졌으니까
   완전 --> 감 : 이래서 감5도 맞죠? 기억나십니까? *^^*
   C의 '도,미,솔'에서 '도-미'가 장3도이므로 메이저 성격을
   규정한다고 떠들었던 적이 있을 겁니다. 기억 안 나시면
   연재 1-7부터 다시 한 번 읽어보신 후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 밑음의 강진행
   도미넌트 케이던스처럼 밑음이 완전4도 상행(혹은 완전5도 하행)
   하는 것을 밑음의 강진행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상행, 하행이라는 말을 잘 염두에 두시고 앞으로 코드
   진행에서 이 개념을 확실히 가지셔야 합니다.
   C 키에서의 예를 들죠.
   
-----------------------------------
-----------------------------------
                            C  [1]
-----------------------------------
----G-------------------------------
-----------------------------------
                           -C- [2]

 

위에 있는 허접한 오선지 그림 상 G음이 [1]번 C음으로 올라가는
것을 완전4도 상행이라 하고 한 옥타브 낮은 [2] 번 C음으로
내려가는 것을 완전5도 하행이라고 합니다.

 

코드에서 완전4도 상행을 한 번 주욱 훑어볼까요?

 

C --> F --> Bb --> Eb --> Ab --> Db (C#) --> Gb (F#)

--> B --> E --> A --> D --> G --> C

 

이렇게 12번 완전4도 상행, 또는 완전5도 하행을 하면 이런
순환이 완성됩니다. 이 4도 진행(5도 진행)은 곡 속에 매우 많이
사용되고 있슴다. 그것들을 분석하는 일, 즉 구체적으로 찾아내서
사운드를 확인하는 일은 앞으로의 코드 진행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자, 오늘도 없는 머리털 많이 빠질 것 같은 분들 계실 줄 알고
이만 하고 다음을 기약하죠.......

즐타~

   

garymh@kcch.re.kr
http://garymh.com.ne.kr
http://home.freechal.com/snowhorse

'기타교실 > 김문홍기타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케이던스_3-마이너 케이던스  (0) 2011.02.10
10. 케이던스_2  (0) 2011.02.10
08. 코드이름분석과 응용  (0) 2011.02.10
07. 단음계  (0) 2011.02.10
06. 음정_3_1  (1) 2011.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