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사랑 얘기가 누구든 없지 않듯, 통기타를 좀 가까이하는 사람이라면 아마 기타에 대한 그런 추억이 있을 거라 본다.
기타를 마련하고, 또 그것을 배워가면서 경험한 숱한 기억들.
1985년 1월 초, 그러니까 고3 겨울방학 무렵으로, 졸업을 한 달 남짓 남기고 있을 때였다.
어느 날 내 앞으로 노란색 얇은 봉투의 편지 한 통이 배달되어 왔다.
무엇일까 하며, 봉투를 개봉하니, 섬뜩한 내용의 독촉장 아닌가.
여리디여린, 순진 그 자체 시골 학생이 받은 그 순간의 두려움과 공포를 뭐라고 표현할 수 있을까.
그동안 까마득히 잊고 있었다. 그런데 졸업을 불과 한 달여 남겨두고 손해배상 운운하며 허를 찌르듯, 언제까지 돈 갚을 것을 요구하는 최고장이 날아든 것이다. 보낸 곳은 그 당시 유명했던 S영어사 부산영업본부.
그것을 받아들고 부모님께 말도 못 하고 혼자 몇 날 며칠을 끙끙 앓았다. 어떻게 해결하여야 할까.
얘긴즉 그렇다.
고1 겨울방학 때 영어 과목 담당이던 우리반 담임선생님께서 "잘 만들어진 영어회화테이프가 나왔다"면서 시골이라 외국어학원을 못 다니는 우리들에게 도움이 될 거라며 구입을 추천(?)하신 거다.
반학생 1/3가량이 구입을 했고, 나도 그중 한 명이었다. 그 당시 구입가가 12만 원이었던 걸로 기억된다. 그래서 여유로웠던 교회 목사 아들 한 명을 제외한 모두가 할부로 구입을 하게 됐다. 매월 5천 원씩 납입하는 조건이다.
하루벌어 하루사시는 가난한 부모님께 도저히 언감생심 영어회화 테이프, 그것도 할부로 구입했다는 것을 말씀드릴 수가 없었다. 그러다 어느 순간에 다가오는 할부금 날짜. 그건 지옥이었다.
이런저런 참고서 구입 등의 명목으로 처음 몇 달은 버티었다. 그렇지만 이내 한계에 봉착했다. 절망이었다. 나 홀로 모라토리엄 선언!
그런데, 웬일. 월부금 납입 독촉이 그때 이후로 없는 게 아닌가. 아무 일 없는 듯 몇 달이 지나가고, 지옥 같은 영어회화 테이프 구입 일은 내게서 잊혀지고 말았다.
영어테이프는 구입한 박스 그대로 책장 위에 놓인 채 먼지만 쌓여가고 있었고.
그러다 졸업할 때가 다 되어 두려움에 치를 떨게 하는 추상같은 최고장으로 돌아온 것이다.
그해 겨울밤은 너무나 길게 느껴졌더랬다. 그러다 한날에 의기소침한 채 영어회화 테이프 박스를 꺼내 들고 영어교재를 한장 한장 넘겨 봤다. 도대체 이게 뭔데 사람을 이렇게 힘들게 하나 하면서.
그러다 발견한 산삼, 아니 한줄기 빛. 영어교재의 치명적 결함을 발견해 낸 것이다.
교재 중간 몇 페이지가 제본이 잘못되었는지 순서가 뒤죽박죽인 것이다. 지금껏 이것을 모르고 있었다니.
다음날 아침 일찍 의기양양한 채 부산행 버스에 올랐다. 부모님께 사정을 얘기하고 혹시나 모르니 그동안 못 낸 미납할부금을 받아들고서.
물어물어 찾아간 S영어사 부산영업본부. 그 당시 부산시 초량동에 있었던 걸로 기억된다. 담당자를 찾으니, 친절하게 맞는다.
말을 꺼내면 내가 질 것 같아 '최대한 말을 안 해야지.'하고 마음먹었다.
담당자에게 우선 내가 받았던 최고장 보여주었다. 그런 다음, 잘못된 영어교재와 함께 구입한 그대로의 영어회화 테이프 박스를 담당자 책상에 툭 올려놓았다.
"잘 한번 살펴보세요."
담당자는 무슨 문제 있느냐는 듯한 표정을 지으며, 박스를 열어 이리저리 살핀다.
"교재 중간 한번 보세요."
"…."
"손해배상은 제가 청구해야겠네요? 이렇게 교재 만들어 팔아놓고 돈 갚으라 독촉장 보내고…."하고 언성을 약간 높였더니, 담당자는 주위를 살짝 돌아보더니 쥐구멍 찾기 정도는 아니나, 자신의 상사를 의식해서인지 조용한 해결을 부탁했다.
첫 새벽에 하동에서 출발해 여기까지 왔다고 하니, 더욱 곤혹스러워한다.
난 그날 그동안 몇 차례 납입한 대금 모두 돌려받고, 버스비까지 받아냈다.
그리고 그 건물을 나와 시외버스터미널로 가기 위해 버스정류장으로 걸어가는 도중 발견한, 길가 악기 가게에 진열된 내 시선을 단숨에 강탈해버린 세련된 느낌의 하얀색 야마하 통기타.
무엇에 홀린 듯, 그렇게 힘들게 되돌려받은 돈으로 앞뒤 재지 않고 그 자리에서 기타를 구입하고 말았다.
서비스로 준 교재와 함께 기타를 둘러메고 고향집 마당에 들어서는데, 나를 바라보는 부모님의 모습을 잊을 수 없다. 마치 나를 내쫓을 듯한 어머니의 표정과는 대조적으로 아무런 말씀이 없으셨던 아버지의 모습.
재작년이었던가. KBS2 주말드라마 '황금빛내인생'이 고공 시청률을 기록하며 장안의 화제였다. 나 역시 그 드라마 팬이었다. 극중 주인공 서지안의 아버지 역으로 나오는 천호진의 기타 배우는 장면이 나오면 왠지 뭉클한 무언가가 내 가슴을 에이게 하였다.
자신의 건강은 뒷전인 채 평생을 자식들만 뒷바라지하다 어느 순간 타인만을 위한 희생적 삶의 덧없음을 깨닫고, 상상 암에 걸린 채 자신의 생(生) 마지막을 준비하면서 젊었을 때의 꿈이었던 클래식 기타를 배우며 행복해 하는 모습이 극중에 그려진다.
어쩌면, 그런, 그런…
데자뷰 같다고 할까.
기타를 집에 가지고 온 지 한 달쯤 되었을까.
아버지께서 마루 한켠에 내가 세워놓은 기타를 쓰다듬듯 만지며 아주 조심스럽게 기타줄을 퉁기고 긁어보는 게 아닌가. 아버지의 그 모습을 뚫린 창호지 문구멍을 통해 숨어서 난 한참을 지켜보았다.
어쩌면, 아버지에게 젊은 날 동경했던 꿈 중에 기타도 있었지 않았을까 여겨진다. 극중 천호진처럼.
올해로 아버지 돌아가신지 8년째이다. 어떤 모습으로 나를 내려다보고 계실까. 그립다.
성실과 신뢰의 면목동 중심 부동산, 면목공인중개사사무소 드림
(02)494-2600, 010-5246-8400
'면목 정담(情談)'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목부동산] 내게 너무나 소중했던 노래, 노미애의 길 위의 연인들 (0) | 2022.01.26 |
---|---|
[면목부동산] 세상은 넓다는데 사실 알고 보면 참 좁죠~ (0) | 2022.01.19 |
[면목부동산] 면목동 면목부동산에서 ‘불멍’하며 힐링하기 (0) | 2022.01.07 |
[면목부동산] ‘중랑구 간판업계의 미래’ 탑사인(Topsign) 이건호 대표 방문 (0) | 2022.01.05 |
[면목부동산] 세밑 단상(斷想), 2021년 한해를 보내며.. (0) | 2021.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