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라도 너무 오른다, 무서울 정도"라는 말이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요즘입니다. 끝없이 치솟는 집값에 정부가 결국 강력한 칼을 빼 들었습니다.
바로 오늘, 6월 28일부터 시행되는 초강력 부동산 대출 규제인데요. 갑작스러운 발표에 '내 집 마련 계획을 다 수정해야 하나?' 불안하고 막막한 분들이 많으실 것 같아요.
정보의 샘 '면목부동산'이 누구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이번 부동산 대책의 모든 것을 알기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
목차
- 1. 생애최초 주택담보대출, 어떻게 바뀌나요? (LTV 70% 축소)
- 2. 다주택자는 이제 대출 완전 금지? (LTV 0%의 의미)
- 3. 디딤돌·버팀목 대출 한도 축소 총정리
- 4. '갭투자' 차단! 전입 의무 및 기타 규제 강화
- 5. 한눈에 보는 6.28 부동산 대책 핵심 요약
- 6. 자주 묻는 질문 (FAQ)
1. 생애최초 주택담보대출, 어떻게 바뀌나요? (LTV 70% 축소) 🏡
내 집 마련의 꿈을 꾸는 분들에게 가장 중요한 소식이죠. 바로 생애최초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조건이 변경된다는 점입니다.
기존에는 LTV 80%까지 적용되어 비교적 넉넉한 한도를 기대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수도권과 규제지역에서는 LTV가 70%로 축소됩니다.
또한, 대출을 받은 후 6개월 이내에 반드시 해당 주택으로 이사해야 하는 전입 의무가 새롭게 부과되었어요. LTV를 활용한 '갭투자'를 막기 위한 조치로 보입니다.
다행히 이번 LTV 축소는 수도권과 규제지역에 한정됩니다. 지방(비규제지역)에서 생애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에는 현행과 동일하게 LTV 80%가 유지됩니다.
구분 | 현행 | 개선 방안 | 시행 시기 |
---|---|---|---|
생애최초 주택구입시 LTV | • LTV 80% • 전입의무 없음 |
• (수도권·규제지역) LTV 70% + 전입의무 부과 (6개월 이내) • (지방) 현행과 동일 (LTV 80%) |
'25.6.28 |
2. 다주택자는 이제 대출 완전 금지? (LTV 0%의 의미) 🚫
이번 대책에서 가장 강력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앞으로 수도권 2주택 이상 보유자가 추가로 주택을 구입하거나, 1주택자가 기존 주택을 처분하지 않고 추가로 집을 살 때는 주택담보대출이 사실상 금지됩니다.
바로 LTV 0%가 적용되기 때문인데요, 이는 은행에서 주택을 담보로 돈을 한 푼도 빌릴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다주택자의 추가적인 주택 매수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엿보입니다.
물론 예외는 있습니다. 1주택자가 이사 등의 목적으로 추가 주택을 구입할 경우, 기존 주택을 6개월 이내에 처분하겠다고 약정하면 무주택자와 동일한 LTV(비규제지역 70%, 규제지역 50%)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기존 2년이었던 처분 기한이 6개월로 크게 줄었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구분 | 현행 LTV | 개선 방안 (LTV) | |
---|---|---|---|
2주택자 이상 / 1주택자 (처분 미조건) |
비규제지역 | 60% | LTV 0% |
규제지역 | 30% | ||
처분조건부 1주택자 (무주택자 포함) |
비규제지역 | 70% (2년내 처분) | 70% (6개월내 처분) |
규제지역 | 50% (2년내 처분) | 50% (6개월내 처분) |
3. 디딤돌·버팀목 대출 한도 축소 총정리 📉
서민들의 주거 사다리 역할을 했던 정책대출의 문턱도 높아집니다. 주택 구입 자금을 지원하는 '디딤돌 대출'과 전세 자금을 지원하는 '버팀목 대출'의 최대 한도가 전반적으로 축소됩니다. 각 항목별로 얼마나 줄어드는지 아래 표로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대출 종류 | 구분 | 현행 한도 | 개선 한도 |
---|---|---|---|
디딤돌 대출 (구입) | 일반 | 2.5억원 | 2억원 |
생초/청년 | 3억원 | 2.4억원 | |
신혼 등 | 4억원 | 3.2억원 | |
신생아 | 5억원 | 4억원 | |
버팀목 대출 (전세) | 생초/청년 | 2억원 | 1.5억원 |
신혼 등 | (수도권) 3억원 (지방) 2억원 |
(수도권) 2.5억원 (지방) 1.6억원 |
|
신생아 | 3억원 | 2.4억원 |
4. '갭투자' 차단! 전입 의무 및 기타 규제 강화 🔐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투기 수요를 억제하려는 의지를 분명히 했습니다. 특히 '갭투자'를 막기 위한 여러 장치가 도입되었는데요,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도권 주담대 한도 설정: 금융회사가 취급하는 주택담보대출의 최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합니다.
- 전입 의무 강화: 앞서 설명했듯, 수도권과 규제지역에서 주담대를 받을 경우 6개월 이내 전입 의무가 부과됩니다.
- 대출 만기 제한: 수도권과 규제지역의 주담대 대출 만기가 30년 이내로 제한됩니다.40년, 50년 초장기 만기 설정이 어려워집니다.
- 전세대출 규제: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을 금지하고, 전세대출 보증 비율을 기존 90%에서 80%로 강화합니다.
- 생활안정자금 한도 축소: 생활안정자금 목적의 주담대 한도가 최대 1억원으로 제한됩니다.
5. 한눈에 보는 6.28 부동산 대책 핵심 요약 📝
6.28 부동산 대책 핵심 요약
자주 묻는 질문 ❓
이번 부동산 대책, 정말 많은 부분이 바뀌었죠? 다소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내 소중한 자산을 지키고 현명한 재정 계획을 세우기 위해 꼭 알아두어야 할 내용들입니다. 정보의 샘 '면목부동산' 구독 부탁드리며,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물어봐주세요~ 😊
'부동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반건축물 이행강제금 산정 기준부터 50% 감경 납부 방법 총정리 (2) | 2025.06.30 |
---|---|
"만기 3개월 전 통보"의 비밀, 갱신 후 계약 해지 방법 (묵시적갱신, 계약갱신청구권) (0) | 2025.06.30 |
중랑구 공인중개사 연수 교육 후기: 전세사기 예방, 핵심만 쏙쏙! (2) | 2025.06.28 |
압류와 가압류, '이것' 모르면 내 돈 떼입니다 (결정적 차이 완벽 정리) (3) | 2025.06.27 |
압류 뜻, 통장 압류부터 부동산 경매까지 완벽 총정리 (2025년 최신) (1) | 2025.06.27 |
인도와 명도, 그 미묘한 차이 (2025년 최신 법률 기준 완벽 해설) (0) | 2025.06.27 |
불법 점유자 내보내는 가장 확실한 방법, 명도소송의 모든 것 (0) | 2025.06.27 |
경매 낙찰 후 필수코스, 인도명령 신청부터 강제집행까지 총정리 (0) | 2025.06.27 |